전체 글 52

[동아리 과제] 5월 18일 아두이노 6차시 과제

블루투스란? -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줄여서 BT --> Bluetooth) 블루투스 모듈이란? - 아두이노에서 시리얼 통신을 하여 데이터 값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듈 - *직렬 포트 패스스루 모듈과 *오디오 모듈로 나뉩니다. *직렬 포트 통과 응용 프로그램? --> 블루트스 프린터, 바코드 스캐너 등 데이터 정송으로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장치 *오디오 응용 프로그램? --> 블루투스 스피커, 헤드셋 등 블루투스모듈을 쓰는 이유? --> 아두이노는 유선 통신인 시리얼(Serial)통신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무선통신을 하기 위해 무선 통신을 시리얼 통신으로 바꿔주는 모듈(블루투스모듈)이 필요합니다. #include //Sofware~을 헤더파일로 추가 #define BT_TXD 7 //BT_TXD를 7번..

카테고리 없음 2022.05.22

[동아리 과제] 5월 16일 아두이노 5차시 과제

서보모터란? -180도 회전이 가능한 모터 cf. 서보모터 PWM이란? - Pulse Width Modulation의 줄임말(PWM은 디지털 신호 중 특정한 형태를 띈 신호를 일컷는 용어) - 펄스를 변조해서 전류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방법이다. - LED밝기를 조절하거나, 모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 *(우노에 ~3, ~5, ~6 등과 같은 부분에 연결을 해 줘야 합니다) +서브모터를 코딩하려면 #include 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include int pos = 0; Servo servo; int bu = 2; void setup() { servo.attach(5); //서브모터의 핀 설정 void loop() { //반복 for(pos = 0; pos=180;pos-=1){ //모터가 다시..

카테고리 없음 2022.05.17

[동아리 과제] 5월 11일 아두이노 4차시 과제

사운드 센서란? -센서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그림의 (A)부분 마이크로 모아, 소리의 크기를 증폭시켜 출력합니다. -만약 소리가 작아 잘 들리지 않는다면 (B)부분이 가변저항으로서 가변저항을 통해 감도를 조절 할 수 있습니다. int SoundSensor = A0; void setup() { Serial.begin(9600);//시리얼 통신 선언 pinMode(SoundSensor, INPUT); } void loop() { //반복 int level = analogRead(SoundSensor); Serial.println(level)' delay(1000); } -A0핀에 연결된 사운드 센서가 획득한 정보를 시리얼 모니터에 출력해 줍니다 사운드 센서를 활용하여 부저 출력하기 int SoundSen..

카테고리 없음 2022.05.11

5월 9일 아두이노 3차시

조도센서란? - 주변에 존재하는 빛의 양을 감지한다. - 밝기에 따라 저항값이 바뀌는 가변 저항이다. - 아두이노에서 안날로그핀과 연결 - 극성이 없어서 아무 방향으로 꽂는게 가능하다. 1.실습 : 조도센서를 사용하여 LED가 밝기에 따라 켜지게 하기 과제!! 조도센서와 부저를 사용하여, 조도센서가 받는 빛의 양에 따라 다른소리가 나게 하기.

카테고리 없음 2022.05.09

[동아리 과제] 5월 4일 아두이노 2차시 과제

수동 부저란? - 수동 부저는 아두이노에서 소리를 내는 모듈이다. (일종의 손가락만한 스피커) - 다리의 길이가 같다. - 전원을 공급해도 바로 소리가 나지 않는다. - 여러가지 음을 낼 수 있다. 능동 부저란? - 수동 부저와 달리 한 개의 음만 출력 가능한 모듈이다. - 다리의 길이가 다르다. - 전원을 공급하면 바로 소리가 난다. ex. *tone(pin(제어하고자 하는 핀의 번호), frequency(음 주파수)); : 해당 pin을 통해 특정한 주파수의 사각 파형을 생성(?) cf. 사각파형 = 디지털 신호. *noTone(pin(제어하고자 하는 핀의 번호)); : 음의 생성을 멈춘다. *pinMode(핀번호, 입출력 여부); 초음파 센서란? -초음파를 대상에게 발사하여 반사되어 오는 반사파를 ..

카테고리 없음 2022.05.08

10109박동진 아두이노 실습

*IOT란? - 사람과 사물의 대화 :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도움 없이 서로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으며 대화를 나눌 수 있 다. - 소통을 돕는 기술 :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 센서데이터, 네트워크 cf. 관련 하드웨어 :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등 *아두이노란? : 다양한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입력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전자 장치들로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cf. 아두이노는 C++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아두이노의 아날로그 신호, 데이터 신호 a. 아날로그 신호 : 특정 상태에 대하여 무한한 실수 값을 가짐, 투과성이 있음. b. 디지털신호 : 불연속적인 제한된 값, 0,1로 이루어진 값을 출력하거나 입력을 받는다. *옴의 법..

카테고리 없음 2022.04.24

10109박동진(5차시 과제 1463 ~ 1467 / 1471 ~ 1475 / 1526 ~ 1580)

1463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순서대로 채우기 1-4 1464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순서대로 채우기 1-5 1465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순서대로 채우기 1-6 1466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순서대로 채우기 1-7 1467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순서대로 채우기 1-8 1471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지그재그 채우기 2-4 1472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지그재그 채우기 2-5 1473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지그재그 채우기 2-6 1474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지그재그 채우기 2-7 1475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지그재그 채우기 2-8 1526 : [기초-함수작성] 함수로 hello 문..

카테고리 없음 2022.04.16

10109박동진(1,2차원 배열)

1차원 배열이 뭘까? -1차원 배열이란 "같은 자료형으로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것" 1차원 배열 사용법 -선언: 자료형 배열명[첨자]; ex) int n[5];, int arr[6];..... -호출: 배열명[첨자]={}; ex) n[5] = {};, arr[6] = {1,2,3,4,5,6};..... + 첨자는 0부터 시작함. ex) int n[5]; ==> [-][-][-][-][-] -->n[0] n[1] n[2] n[3] n[4] n[5] 예시) int n[5] = {1,2,3,4,5}; ==> [1][2][3][4][5] int n[5] = {} or {0} ==> [0][0][0][0][0] char n[] = "ABCD E" ==> [A][B][C][D][ ][E][\0] ..

카테고리 없음 2022.04.12

10109박동진(2차원배열)

**1420 : 3등 찾기 1460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순서대로 채우기 1-1 1461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순서대로 채우기 1462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순서대로 채우기 1-3 1468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지그재그 채우기 2-1 1469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지그재그 채우기 2-2 1470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지그재그 채우기 2-3 1476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빗금 채우기 3-1 1477 : [기초-배열연습] 2차원 배열 빗금 채우기 3-2

카테고리 없음 2022.04.11

10109박동진

1093 : [기초-1차원배열] 이상한 출석 번호 부르기1 1094 : [기초-1차원배열] 이상한 출석 번호 부르기2 1095 : [기초-1차원배열] 이상한 출석 번호 부르기3 1110 : 정수 그대로 출력하기 1111 : %출력 1112 : 두 정수 출력 1113 : 바꿔서 출력하기 1114 : 두 정수의 덧셈 1116 : 사칙연산 계산기 1117 : 두 실수의 곱 1118 : 삼각형의 넓이 구하기 1119 : 일을 시간으로 변환 1120 : 세 수의 평균 1121 : 나머지 구하기 1122 : 초를 분/초로 변환 1123 : 섭씨 온도를 화씨 온도로 변환 1135 : 관계연산자 1 1136 : 관계연산자 2 1137 : 관계연산자 3 1138 : 논리 연산자(NOT) 1139 : 논리 연산자(AND)..

카테고리 없음 202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