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0109박동진 아두이노 실습

20308박동진 2022. 4. 24. 18:37

*IOT란?

  - 사람과 사물의 대화 :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도움 없이 서로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으며 대화를 나눌 수 있 다.

  - 소통을 돕는 기술 :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 센서데이터, 네트워크

  

cf. 관련 하드웨어  :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등

 

 

*아두이노란?

 

: 다양한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입력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전자 장치들로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cf. 아두이노는 C++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아두이노의 아날로그 신호, 데이터 신호

a. 아날로그 신호 : 특정 상태에 대하여 무한한 실수 값을 가짐, 투과성이 있음.

 

b. 디지털신호 : 불연속적인 제한된 값, 0,1로 이루어진 값을 출력하거나 입력을 받는다.

 

 

*옴의 법칙?

로 즉 전압은 전류와 저항에 비례한다.

        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

        저항은 전압에 비례하고, 전류에 반비례한다.

 

*브레드보드(빵판)

-내부에서 세로로 연결되어있다.

-(-)는 GND와 연결한다.

-(+)는 5V와 3.3V에 연결한다.

 

라즈베리 파이란?

 

: 영국 잉글랜드의 라즈베리파이 재단이 학교와 개발도상국에서 기초 컴퓨터 과학의 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한 컴    퓨터이다.

 

cf. 라즈베리파이의 운영체제는 리눅스 이다.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LED, 릴레이 모듈 등 다양한 모듈을 사용할 때 사용.                 - 복잡한 수치 계산, 그래픽 처리

-묘듈만 제어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더 효율적                          - 데이터 처리의 경우 더 효율적 

 

LED 제어하기

 

필요부품 : LED, 저항, 수수 점퍼선, bread board(빵판), 아두이노 UNO, usb B타입

 

 

★ 코딩 ★

 

1. setup()

setup() 함수는 스케치가 시작될 때 호출됩니다. 

변수나 핀 모드 설정,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설정합니다. 

setup() 함수는 전원이 공급될 때, 또는 아두이노 보드에서 리셋을 눌렀을 때, 한 번만 실행됩니다.

 

2. pinMode(8, OUTPUT): 8번 핀을 출력으로 설정합니다.

pinMode는 pinMode(pin 넘버, mode)로 설정합니다.

mode에는 INPUT(입력), OUTPUT(출력), INPUT_PULLUP(풀업 저항)이 있습니다.

 

3. void loop()

loop() 함수는 계속해서 반복되는 함수로 실제로 아두이노 보드가 명령을 처리하는 함수입니다.

 

4 & 6. digitalWrite(8, HIGH): 8번 핀의 전압을 아두이노 보드의 공급 전원(우노 R3의 경우 5V)으로 설정합니다.

LOW일 경우에는 전압을 0V(ground)로 설정합니다.

digitalWrite는 digital(pin 넘버, value)로 설정합니다.

value는 HIGH 또는 LOW로 설정합니다.

 

5. delay(1000)

delay는 프로그램을 지연시키는 명령입니다.

숫자는 밀리세컨드 단위이며, 1000ms = 1초입니다.



출처: https://egeasy.tistory.com/entry/아두이노-LED-제어하기 [이지이지(EGEasy)]

 

 

 

 

 

마치며...

저항과 선을 넉넉하게 가져가라고 하실때 가져갈 걸 그랬습니다....

때문에 코드에는 3개어치를 적어 놨음에도 2개의 LED까지 밖에 못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