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이란?
- 특정 조건이 참(True)인지 거짓(False)인지를 판단
- ==(같을 때) !=(다를 때)등을 사용하여 다음 코드를 실행할 지를 결정 할 수 있으며 이는 비교연산자를 통해서도 가능함.
- 조건문의 종류는 if, elif, else가 있음
++
if문 안에 다시 if문을 넣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게에 들어가서 자리가 있으니까 앉고, 이정도 돈이 있으니까 여기까지는 시킬 수 있고, 이정도 시간이 있으니까 몇 시까지는 먹을 수 있고, 등등이 다 if를 써야하는 내용이죠.
이런 내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바로 elif를 사용해서죠. elif는 if안에 if를 else 안에 if를 넣어야 하는 필연적인 상황을 방지해줍니다.
- 기본 구조는
if 조건문 :
이후 수행할 문장
...
elif 조건문 :
이후 수행할 문장
else :
이후 수행할 문장
- 조건문을 작성할 경우 들여쓰기에 각별히 신경쓰자, 이것때문에 오류가 난게 한,두번이 아님..(진짜 진짜 두번 세번 강조해도 입 안아픈게 이거 한 번 걸리면 골치아픔..)
a = int(input())
if a == 10 :
print("이 숙제를 미리하는 이유는")
else :
print("모릅니다.")
-->
a 가 10일 때 == 이 숙제를 미리하는 이유는
a 가 19이 아닐 때 == 모릅니다.
사용할 수 있는 비교연산자는 다음 표와 같음.
| x < y | x가 y보다 작다 |
| x > y | x가 y보다 크다 |
| x == y | x와 y가 같다 |
| x != y | x와 y가 같지 않다 |
| x >= y | x가 y보다 크거나 같다 |
| x <= y | x가 y보다 작거나 같다 |
- 리스트 안에 문자열이 있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해당 문자열이 존재하면 True를 없으면 False로 판단할 수도 있음.(if 리스트 안에 있는 요소(True) 혹은 리스트 안에 없는 요소(False))
l = [10, 20, 30, 'a', 'b', 'c', "hello"]
if 20 in l :
print("요소가 존재합니다.")
else :
print("요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if "Hello" not in l :
print("요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lse :
print("요소가 존재합니다.")
-->
요소가 존재합니다.
요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위에 쓴 코드에는 not이라는 조건판단문?이 있습니다. 종류는 총 3개로 or, and, not이 있으며 사용방법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 x or y | x와 y 둘중에 하나만 참이어도 참이다 |
| x and y | x와 y 모두 참이어야 참이다 |
| not x | x가 거짓이면 참이다 |
파이썬에는 C언어와 같이, break와 continue 가 있습니다. 각각 C언어에서의 사용과 같이 사용하며,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nums = []
while True :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1 입력시 중단됩니다.:"))
if num == -1 :
break #반복문 탈출
else :
if num % 2 == 1 :
continue #반복문 맨 처음으로
nums.append(num)
for n in nums:
print(n, end = ' ')
-->
1
2
3
4
-1
---입력
2 4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