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TP(Vlan Trunking Protocol)란?
- CISCO전용 프로토콜로, 연결된 스위치끼리 Vlan의 정보를 주고 받아 자동으로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관리해야하는 스위치가 많은 경우 유용하게 쓰이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https://light-touch-fish.tistory.com/19)
<Vtp-Server,Client설정>
1. sever
(1) en
(2) conf t
(3) vtp mode server
(4) vtp version 2 : vtp의 버전 설정(1과 2가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2로 되어있음)
(5) vtp domain [Word] : 서버의 이름 설정, 클라이언트는 이도메인으로 접속
(6) vtp password [Word] : 서버의 비밀번호 설정
2. client
(1) en
(2) cont f
(3) vtp mode client
(4) vtp domain [Word] : 서버 도메인을 입력하여 서버와 연결
(5) vtp password [Word] : 서버에 비밀번호가 설정 되어있을 경우
INTER VLAN 이란?
- Vlan 으로 나눠진 Vroadcast domain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 라우터와 스위치의 Vlan연결을 위해 사용합니다.
(https://ryusstory.tistory.com/entry/Inter-VLAN-%EA%B5%AC%EC%84%B1)
<Inter - Vlan설정>
(1) int [스위치와 연결되어있는 포트].[연결하고 싶은 vlan 번호] : subit접속
(2) encapsulation dot1Q [vlan 번호]
(3) ip add [기본 게이트웨이 아이피] [서브넷 마스크]
ETHERCHANNEL이란?
- 두 스위치 포트 간 연결된 여러개의 포트를 1개의 논리적 포트로 동작시켜 대역폭을 향상시키고, 이중화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 각각 PAgP[ on / auto / desirable ] 과 LACP[ on / passive / active ]가 있습니다.
<Etherchannel 설정>
0. 기본설정
(1) int ran f0/[원하는 포트번호] - f0/[같은 설정을 하고싶은 포트번호] ex) f0/1 -2 : interface접속
(2) switchport mode trunk : trunk모드를 사용하여 교환
1. PAgP
(1) channel-group 1 mode auto : auto 모드로 스위치 "1"설정
(2) channel-group 1 mode desirable : desirable 모드로 스위치 "2"설정
2. LACP
(1) channel-group 1 mode active : active 모드로 스위치 "1"설정
(2) channel-group 1 mode passive : passive 모드로 스위치 "2"설정
3. ON
(1) channel-group 1 mode on : on 모드로 스위치 "1"설정
(2) channel-group 1 mode on : on 모드로 스위치 "2"설정
<과제와 함께> - **본 과제는 글쓴이의 임의대로 편집된 것입니다. 본 과제와는 각각 pc 1과 pc 2의 ip주소가 다릅니다.

1. 설명을 보고....
설명을 보고 스위치를 설정해봅시다.
(0) 각각 Vlan의 IP주소를 계산하고 PC와 라우터에 IP 주소 할당
(1) 각각의 Vlan의 이름 설정
(2) 스위치와 연결된 PC의 Vlan설정
(3) 각각 스위치에 Vlan 설정을 하고
(4) 라우터에서 Inter-Vlan 설정
(5) 스위치에서 각각의 알맞은 모드로 VTP설정(도메인은 test로 비밀번호는 cisco로)
.
.
.
.
.
.
쉬운것부터 해봅시다.
(5) 스위치에서 각각의 알맞은 모드로 VTP설정(도메인은 test로 비밀번호는 cisco로)
VTP server switch
(5-1) en
(5-2) conf t
(5-3) vtp mode server
(5-4) vtp version 2
(5-5) vtp domain test
(5-6) vtp password cisco
VTP client switch
(5-1) en
(5-2) conf t
(5-3) vtp mode client
(5-4) vtp domain test
(5-5) vtp password cisco
그 다음이자 마지막 (다른건 전 강의 정리에 있음)
(4) 라우터에서 Inter-Vlan 설정
(4-1) en
(4-2) conf t
(4-3) int g0/0
(4-4) switchport mode trunk
(4-5) int g0/0.(10 || 20 || 30)
(4-6) encapsulation dot1Q (10 || 20 || 30)
(4-7) ip add [원하는 범위 내의 IP but PC에 저장된 IP는 할당 X] [서브넷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