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v2(Routing Information Protocol version 2)
-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중 가장 오래됨
- 동작 방식이 간단하며 설정도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Classless Routing protocol으로 *Bellman-Ford(벨만-포드)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 인접 라우터간에 *멀티캐스트 패킷을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합니다.
Classless Routing protocol :
*동적 라우팅 :
Bellman-Ford 알고리즘 :
멀티캐스트 패킷 :
라우터 - 라우터 연결
1. 라우터 - 라우터 를 연결하기전 Physical 을 선택한 후 포트 전원을 끄고 HWIC_2T를 넣은 후 다시 전원을 켜줍니다.

이런 순서로 진행하면

이렇게 되는데 마지막으로 전원을 다시 켜주면 됩니다.
2. 라우터 - 라우터 연결은 빨간선(Serial DCE)으로 되어야합니다.
제대로 포트연결을 해 주었다면 빨간선(Serial DCE)로 연결하려 할 때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아무 포트나 상관없습니다
(다만 헷갈릴 수도 있으니 Ctrl + R을 누르시고 보이는 화면에서 Always Show Port Labels ~를 체크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연결을 했을 시에 다음과 같은 화면일겁니다.

여기부터는 과제와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RIP VERSION 2

3개를 다 보는건 별로일 것같아서 가운데 2911라우터를 보도록 합시다.
할건 딱히 없습니다.
1. ip add 설정 + no shutdown
2. rou rip --> ver 2 설정
3. net 설정
이렇게 3개가 끝입니다.
정확한 순서를 보자면
1. enable(en): 관리자 모드 전환
2. configure terminal(conf t) : 터미널 구성모드 진입
3. interface s0/0/0(int s0/0/) : 라우터랑 연결된 인터페이스 진입
--> s0/0/0 = 53.208.97.2 255.255.255.0 , s0/0/1 = 208.23.89.1 255.255.255.0
4. ip address (ip) (서브넷마스크) : 연결할 IP입력
5. router rip(rou rip) : rip라우팅 설정 진입
6. version 2(ver 2) : version 2설정
7. network (네트워크ID) : 자신과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ID
--> 예시에선 53.208.97.0
8. net (라우터의 네트워크ID) : 라우터의 네트워크 ID
--> 예시에선 208.32.89.0
EIGRP 동적 라우팅

이도 위와 같이 가운데 라우터를 봅시다.
간단하게
1. ip add 설정 + no shutdown
2. eigrp 7
3. net 설정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더 정확하게는
1. enable(en): 관리자 모드 전환
2. configure terminal(conf t) : 터미널 구성모드 진입
3. interface s0/0/0(int s0/0/) : 라우터랑 연결된 인터페이스 진입
--> s0/0/0 = 53.208.97.2 255.255.255.0 , s0/0/1 = 208.23.89.1 255.255.255.0
4. ip address (ip) (서브넷마스크) : 연결할 IP입력
5 router eigrp 7 : eigrp라우팅 설정 진입
6. network (네트워크ID) : 자신과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ID
--> 예시에선 53.208.97.0
7. net (라우터의 네트워크ID) : 라우터의 네트워크 ID
--> 예시에선 208.32.89.0
OSPF 동적 라우팅 (feat. area 0)

이도 위와 같이 가운데 라우터를 봅시다.
1. ip add 설정 + no shutdown
2. eigrp 7
3. net 설정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더 정확하게는
1. enable(en): 관리자 모드 전환
2. configure terminal(conf t) : 터미널 구성모드 진입
3. interface s0/0/0(int s0/0/) : 라우터랑 연결된 인터페이스 진입
--> s0/0/0 = 53.208.97.2 255.255.255.0 , s0/0/1 = 208.23.89.1 255.255.255.0
4. ip address (ip) (서브넷마스크) : 연결할 IP입력
7 router ospf 1 : ospf 라우팅 설정 진입
6. network (네트워크ID) +와일드마스크(서브넷마스크반대)+ area 0 : 자신과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ID
--> 예시에선 53.208.97.0 0.0.0.255 area 0
7. net (라우터의 네트워크ID) +와일드마스크(서브넷마스크반대)+ area 0 : 라우터의 네트워크 ID
--> 예시에선 208.32.89.0 0.0.0.255 area 0

!!!!참고 사이트 :
https://heavyrain180828.tistory.com/9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Routing ripv2설정
Cisco Packet Tracer Routing ripv2설정 토폴로지 이번 회차부터는 라우팅 하는 방법을 배워볼겁니다. 하지만 라우팅 방법은 한가지 방법이 아니라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종류로는 동
heavyrain180828.tistory.com
https://min-310.tistory.com/166
[허언증/실습] EIGRP 동적 라우팅 ( 패킷트레이서 , RIPv2 Routing)
안녕하세요 허언증입니다. 동적 라우팅에서도 링크연결인 EIGRP 실습 입니다. R2>en R2#conf t R2(config)#no ip domain-lookup R2(config)#router eigrp 7 R2(config-router)#network 203.230.9.0 R2(con..
min-310.tistory.com
https://m.blog.naver.com/kimdj217/221258881677
패킷 트레이서 동적 라우팅 설정 - OSPF
RIP의 단점과 OSPF RIP을 사용하는 라우터는 '패킷의 목적지 네트워크가 x.x.x.x라면 x번 인터페...
blog.naver.com